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0)
[DevOps] 데브옵스란? 데브옵스(DevOps)란? 개요 데브옵스(DevOps)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개발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본다. 목차 데브옵스(DevOps) 데브옵스(DevOps) vs 애자일(Aegile) 소개 1. 데브옵스(DevOps) 데브옵스(DevOps) 정의 데브옵스(DevOps)란 "Development(개발) + Operation(운영)을 결합해 탄생한 용어로, 시스템 개발자와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사이의 소통(Communication), 협업(Collaboration), 통합(Integration), 자동화(Automation)을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빠른속도로 제공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소프트웨어 개발론" 이다. 데브옵스(DevOps) 이점 ..
[Docker & Kubernetes] 도커, 그리고 쿠버네티스 도커(Docker), 그리고 Kubernetes에 관해 개요 Docker와 Kubernetes를 알아보고, Docker와 Kubernetes를 비교해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해본다 목차 Traditional vs VM(Virtual Machine) vs Container Docker 그리고 Container Kubernetes vs Docker 소개 1. Traditional vs VM(Virtual Machine) vs Container 환경 Traditional Deployment (전통적인 개발환경) Virtualized Deployment (가상환경에서의 개발환경) Container Deployment (컨테이너에서의 개발환경) 특징 1. 하나의 물리서버에서 실행 2.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자원의 한..
[Web Crawling] 웹 크롤링(Web Crawling)이란? 웹 크롤링(Web Crawling)이란? 개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대해 이해하고, 크롤링시 지켜야 할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본다. 목차 웹 크롤러(Web Crawler) robots.txt 웹 크롤링(Web Crawling) 소개 1. 웹 크롤러(Web Crawler) A. 웹 크롤러(Web Crawler)란? SEED URL에서 시작하여 관련된 URL을 찾아 내고, 그 URL들에서 또 다른 하이퍼 링크를 계속 하여 찾아내는 과정을 반복하며 하이퍼 링크들을 다운로드하는 프로그램이다. B. 웹 크롤러(Web Crawler)의 구조 Frontier: 2개의 자료구조(탐색했던 URL과, 탐색해야 할 URL)를 바탕으로 탐색할 URL에 하나 이상의 Seed URL을 Fetcher 에게 넘겨준다..
[Cloud] 클라우드(Cloud)란 무엇인가? [Cloud] 클라우드(Cloud)란 무엇인가? 개요 AWS를 통해 클라우드(Cloud)의 기본개념을 알아보고, 현재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목차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 클라우드의 이점 클라우드의 제공 형태 클라우드의 컴퓨팅 유형 웹 호스팅 vs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소개 1.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클라우드를 통하여 물리적 데이터 센터와 서버를 구입, 소유 및 유지 관리하는 대신, Amazon Web Services(AWS)와 같은 클라우드 공급자로부터 필요에 따라 자원(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기술 서비스)에 접근하여 원하는 자원을 가져다 쓸 수 있다. 좀 더 ..
[Server] KaKao 를 이용한 소셜 로그인 구현 KaKao를 이용한 소셜 로그인 구현 개요 Client로부터 KaKao에게 받은 jwt token을 건내받아, Server가 KaKao에게 Client로 부터 받은 jwt token을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소셜로그인을 구현하여본다. 목차 Token 발급 NPM module 적용 Code 작성 결과 확인 소개 1. Token 발급 A. KaKao Developer를 통한 My Application 등록 Kakao Developers에 접속하여 KaKao 로그인 후 My Application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준다. B. Web 플랫폼 등록 작성한 Application의 플랫폼 설정에서, local 환경과 Server 환경에서의 사이트 도메인을 Web 플랫폼에 작성하여준다. C. Redirect UR..
[Server] Nginx Redirection (IP to Domain) Nginx Redirection (IP to Domain) 개요 Nginx에서 설정변경을 통해 URL에 IP를 입력하여도 Domain Name 으로 redirection 하게 한다 목차 Server 설정 변경 변강사항 확인 진행과정 Ip 주소를 Domain name 으로 redirection 하게 하기 위해선 Server의 설정에서 Server Ip를 listen 하고 있는 부분에 IP 주소가 들어오면 이를 Domain Name으로 변환해주거나 Domain 을 반환값으로 갖게 해주면 된다 1. Server 설정 변경 $ sudo vi /etc/nginx/sites-enabled/default 위의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하여준다 server_name에 대여받은 Server의 public I..
[Server] AWS Server 구축 (Nginx + PhP + MySQL) -5 AWS Server 구축(+Nginx PhP MySQL) -5- 개요 구축한 Server에 https protocol 도 추가하여준다 목차 letsencrypt 설치 Nginx용 certbot 설치 Nginx 설정 SSL 인증서 받기 https In-Bound 규칙 추가 및 확인 진행과정 1. letsencrypt 설치 $ sudo apt-get install letsencrypt -y Let`s Encrypt를 통해 SSL 인증서를 얻기 위한 letsencrypt를 먼저 설치하여준다. 이 때 Certbot은 letsencrypt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설치해주지 않아도 된다. 2. Nginx 용 Certbot 설치 Nginx 설치 전 update를 한번 더 진행해준다 $ sudo apt upgra..
[Server] AWS Server 구축 (Nginx + PhP + MySQL) -4 AWS Server 구축(+Nginx PhP MySQL) -4- 개요 gabia에서 Domain Name을 구매 후 적용하여 Domain Name으로 IP접속과 같은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ub Domain을 설정하여 여러 Doamin Name으로 같은 Domain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목차 gabia 접속 및 Damain 구매 Domain Name DNS 설정 Domain 접속 확인 진행과정 1. gabia 접속 및 Domain 구매 gabia.com -> My가비아 -> 서비스관리 -> 도메인(서비스 찾아보기)에 접속하여준다 원하는 Domain name을 입력하여 다음과 같이 확인 후 구매하여준다 2. Domain Name DNS 설정 등록한 도메인의 DNS 설정에 들어가준..